본문 바로가기
종목 분석

필수소비재 중심 투자, XLP 를 이용한 투자 전략

by 아깽킴 2024. 1. 23.
728x90

안녕하세요, 아깽킴입니다. 사람이 살아가는 데 있어 필요한 여러 물품들이 있지만, 그 중 생활필수품이라 일컫는 것에는 식료품이나 의류 등이 포함됩니다. 아래 그림과 같이 마트를 운영하는 회사들이 포함될 수 있습니다.

 

 

이를 "필수소비재" 섹터라고 말하기도 합니다. 이러한 영역에서 사업을 영위하는 회사들에 집중적으로 투자하는 상품에는 XLP 가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 XLP 를 통한 투자 방법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1. XLP 소개 및 특징

 XLP Consumer Staples Select Sector SPDR Fund Ticker , S&P Consumer Staples Select Sector Index를 기초 자산으로 추적하는 상장지수펀드 (ETF) 입니다. 앞서 소개드린 바와 같이 필수소비재 산업에 투자하는 종목입니다. SPDR 에서 운용하는 다른 섹터군의 ETF 처럼 1998.12.16 에 상장한 꽤 오래된 ETF 상품입니다. ETF 는 주로 식료품점, 식음료, 가정 및 개인용품, 담배 등 기본적인 소비재에 대한 포트폴리오 구성을 제공합니다. 대표적으로 포함되는 회사에는 코카콜라나 코스트코, 월마트 같은 회사들이 있습니다.

 

2. XLP 투자 시 강점

 XLP의 가장 큰 특징은 경기에 덜 민감한 기본 소비재 산업에 집중적으로 투자한다는 것입니다. 이러한 회사들은 비교적 경기와 관계없이 꾸준한 수요가 있기 때문에, XLP는 안정적인 수익 창출을 목표로 하는 투자자들에게 적합한 투자 대상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흔히 말하는 "경기방어주" 라고 불리기도 합니다. 또한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사업을 운영하기 때문에 타 섹터에 속하는 ETF 대비 배당성향, 배당률 등이 더 높은 편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XLP ETF 는 다양한 필수소비재 산업에 투자함으로써 포트폴리오의 다양성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3. XLP 투자 시 위험 요소

 필수소비재 산업은 경기에 덜 민감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특정 위험 요인에 노출되어 있습니다. 예를 들어, 원자재 가격의 변동, 환율 변동, 국제적인 무역 분쟁 등은 필수소비재 산업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러한 요인들을 고려하여 XLP에 투자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경기에 상대적으로 민감한 경기방어주라는 것은, 그만큼 수익창출에 있어 타 섹터군의 ETF 에 비해 기회비용이 있을 수 있음을 암시하므로 이 부분 역시 고려할 필요가 있겠습니다.

 

4. XLP 대체 ETF 소개

 XLP와 유사한 ETF로는 Vanguard Consumer Staples ETF(VDC), iShares U.S. Consumer Goods ETF(IYK), Fidelity MSCI Consumer Staples Index ETF(FSTA) 등이 있습니다.

 

VDC FSTA MSCI US IMI/Cons Staples 25-50 GR (혹은 NR) USD 을 추적하며, FSTA Russell 1000 CS RIC 22.5/45 Cap TR USD 을 추적합니다. 각각의 지수에 각 특정 종목이나 그룹에 대한 포트폴리오 비중 제한치가 기술되어 있습니다.

 

5. 대체 종목들의 수치 비교

아래와 같이 성과들을 비교해 볼 수 있습니다.

종목 수익률 비용
1개월 3개월 6개월 1 분배율 연 보수
XLP 1.20 7.00 -0.90 1.97 2.63 0.1000
VDC 1.24 7.43 0.14 4.53 2.65 0.1000
IYK 1.07 5.38 -2.19 0.39 2.74 0.4000
FSTA 1.25 7.46 0.15 4.45 2.66 0.0840

* 단위는 퍼센트(%)입니다.

* 수익률은 24.01.18 일자 기준입니다.

* 실제 투자 결정 시에는 반드시 최신 데이터를 확인하시길 바라며 필요 시, 전문가의 조언 역시 참고하셔야 합니다.

 

어느 정도 추이가 유사하다는 점을 볼 수 있습니다. XLP 의 경우 상위 10 위까지의 회사 비중이 거의 70% 에 육박하는 것으로 확인이 됩니다. 가장 다양한 포트폴리오를 제공하는 것은 FSTA 이며 상위 10위 비중은 60% 정도입니다. 투자 시에 참고해 볼 수 있겠습니다. 분배율 역시 높은 점도 XLP 를 비롯한 필수소비재 섹터 투자의 매력일 것입니다. 소비자들이 많이 알고 있는 회사들이기 때문에, 아무래도 좀 더 익숙한 섹터이지 않을까 싶네요. 잘 알고 있는 섹터에 투자하는 것이 아무래도 더 마음이 놓이지 않을까요? XLP 에 대한 포스팅을 이것으로 마치겠습니다. 감사합니다.